Hub, Bridge, Switch 모두 외관상으로는 비슷하지만, 허브는 Collision Domain을 나누어주지 못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CSMA/CD 방식의 Collision Detect Method를 사용하는 이더넷 케이블의 경우에는 아무리 전송속도가 빠르다고 해도 허브로 연결된 네트워크에서는 한번에 한 컴퓨터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한 것이 스위치와 브릿지이다. 스위치와 브릿지는 거의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보통 스위치가 브릿지보다 조금 비싸고, 스위치는 하드웨어적으로 프레임들을 처리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을 프레임들을 처리하는 브릿지보다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점과 스위치가 브릿지보다 제공하는 포트 수가 더 많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 외에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가지기때문에 그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브릿지, 스위치 소개
스위치와 브릿지는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누어져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점이 허브와의 차이인데, 한 포트에서 전송을 시도하면 다른 모든 포트에서의 전송 요청이 무시되는 허브와는 다르게 스위치와 브릿지에서는 1번 포트와 2번 포트가 통신하는 동시에 3번 포트와 4번 포트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스위치와 브릿지가 Collision Domain을 나누어 통신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만약 한쪽 Collision Domain에 속해있는 MAC address들이 있고, 반대쪽 Collision Domain에 속해있는 MAC address들이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1번째 영역에 컴퓨터 A, B가 있고, 2번째 영역에 컴퓨터 C, D가 있다고 할 때, 스위치는 이들 각각의 MAC address 정보를 통해서 어떤 컴퓨터가 어떤 Collision Domain의 주소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가 보기에는 A와 B의 통신은 C와 D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를 건널 필요가 없다. 따라서 1번째 영역과 2번째 영역이 별도의 Collision Domain이기때문에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스위치는 스위치 테이블을 이용해서 각각의 Collision Domain에 어떤 MAC address가 있는지 저장한다. 따라서 테이블의 크기는 장비마다 다르지만, MAC address를 통해서 각각의 Collision Domain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징
Flooding
스위치는 스위치로 들어오는 정보가 어디서 오는지를 확인하고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주소를 확인한다. 이때, 목적지의 주소가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지않다면 모든 포트로 해당 정보를 뿌려서 확인한다.
Forwarding
Flooding의 경우와는 다르게 목적지의 주소가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스위치는 정보를 해당 포트로 바로 통과시켜준다.
Filtering
Forwarding의 경우에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지만 목적지에 해당하지 않는 포트에는 스위치가 해당 정보를 보내주지 않는다. 이를 Filtering이라고 한다.
Aging
스위치의 테이블의 메모리에는 한계가 있기때문에 특정 MAC address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스위치는 이 address를 해당 테이블에서 지워서 다른 주소를 저장할 공간을 만들어준다. 이때의 기준은 default값이 5 minute이다.
인용
'컴퓨터 사이언스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칭 허브와 공유기의 차이 + ipTIME 사용 팁 (0) | 2023.11.17 |
---|---|
Hub, Switch, Router의 차이 (0) | 2023.11.17 |
Load Balancing (0) | 2023.11.17 |
OSI 7 Layer, TCP/IP Model (0) | 2023.11.17 |
Ajax 정리 (0)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