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jingyu 2023. 1. 18. 23:54
728x90
  • 변수 : let
  • 상수 : const

 배열

  • const array = [1,2,3]
  • 길이 구하기
    • array.length
  • 값 꺼내기
    • array[0]
  • 값 맨 뒤에 추가하기
    • array.push(4)
  • 맨 마지막 삭제하기
    • array.pop() -> return 값 : 4
  • 정렬
    • array.sort()
  • 가지고 있는 데이터 확인
    • array.includes(1)
  • 배열 2개 연결하기 : concat
    • const array2 = [4,5,6]
    • array.concat(array2)
  • 배열을 문자로 만들기 : join
    • array.join('-') -> 1-2-3
  • 배열 분리하기 : splice
    • array(0, 2) -> [1,2]
  • 배열에서 원하는 요소만 뽑아내기 : filter
    • array.filter((number) => (number === 1)) -> [1]
    • array.filter((num) => (num !== 1)) -> [2,3]
  • 배열에서 모든 요소 변경하기 : map
    • array.map((data) => (data + "번")) -> ['1번','2번','3번']

문자열

  • 문자열 선언
    • const classmate1 = "철수"
    • classmate1[0] = "철"
  • 문자열 쪼개기 -> split, 배열로 반환
    • const classmate2 = "철수&영희"
    • classmate2.split("&") -> ["철수","영희"]
  • 문자열 양쪽 공백 제거하기 -> 문자열 반환
    • const classmate3 = " 철수 & Milk "
    • classmate3.trim() -> "철수 & Milk"
  • 문자열 대소문자 변환하기
    • classmate3.toUpperCase()
    • classmate3.toLowerCase()
  • 문자열 빈칸 채우기
    • const number = "1234"
    • number.padStart(10, "0") -> "0000001234"
    • number.padEnd(10, "0) -> "1234000000"

배열에 담긴 객체

let students = [
    {name: "길동", pet: "강아지", house: "구로구"},
    {name: "철수", pet: "고양이", house: "관악구"},
    {name: "다희", pet: "미어캣", house: "강서구"}
    ]
// undefined
students[0].name
// '길동'
728x90